유용미생물 배양센터
운영현황
- 목적
- 환경개선 및 생산성 향상으로 경영비 절감
- 유기농업 기반구축
- 안전한 농·수·축산물 생산
- 운영규모 및 시설현황
- 본소(장성농업기술센터)
- 멸균배양기 2세트, 살균배양기 3세트
- 생산균종
- 4종(광합성균, 고초균, 유산균, 효모균)
유용미생물 | 주요특징 | 사용효과 | ||
---|---|---|---|---|
농업(작물) | 축산 | |||
광합성균 | ![]() |
|
|
|
고초균 | ![]() |
|
|
|
유산균 | ![]() |
|
|
|
효모균 | ![]() |
|
|
|
유용미생물 사용방법 및 기본원칙(보통 200~1,000배액 희석→1~2주 간격 주기적 살포)
구분
분야
사용량
사용주기
비고
농업(작물)
토양관주
물 1Ton당 미생물 1~5L
1~2주 간격(퇴비살포 후)
- 광합성균
- 고초균
- 유산균
- 효모균
입면시비
물 1Ton당 미생물 1~5L
1~2주 간격(정식 2주 후)
액비조제
원료 1Ton당 미생물 5~10L
발효(15~30일) 후
축산
음수투여
음수 1Ton당 미생물 0.5~1L
매일
- 고초균
- 유산균
- 효모균
발효사료 조제
원료 1Ton당 미생물 5~10L
발효(3~10일) 후
축사살포
물 1Ton당 미생물 2~3L
1~2주 간격
- 광합성균
- 고초균
- 미생물균=생물(육안으로 보이지 않음)
- 화학 비료나 농약처럼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
- 장기간 꾸준히 사용하여 토양 속의 유용미생물을 증식 시키는 것이 중요함
- 미생물이 먹고 살 수 있는 먹이가 토양 속에 있어야 함(퇴비살포 기본)
- 사용조건
- 건조 및 고온에 약하므로 해가 뜰 무렵이나 질 무렵에 살포
- 비가 오기 전이나 후에 살포하면 가장 좋음
- 농약, 항생제, 소독약 등과 혼용 사용 금지
- 농약 및 비료 안전사용 기중에 준하여 사용
- 개봉한 미생물은 가급적 당일 사용
- 보관요령
- 직사광선 및 고온에 매우 취약하므로 냉장보관(4~5℃)(냉장 보관시 개봉하지 않은 것은 1개월까지 보관 가능)
유용미생물 공급안내
- 공급대상 : 장성군에 주소를 둔 농업인
- 공급장소 : 장성군농업기술센터(농업유용미생물 배양센터)
- 공급시기 : 매주 수·금요일 09:00~18:00(점심시간 12:00~13:00)
- 공급종류 : 4종(광합성균, 고초균, 유산균, 효모균)
- 공 급 량 : 영농규모에 따라 공급
축산(한우) : 0.4L/두(공급한도 30L)
작물(시설채소) : 5L/10a(공급한도 30L)
- 공급방법 : 무상공급(신청인 직접방문 수령원칙. 대리수령 불가함)
- 신청방법 : 농업유용미생물 배양센터 내방
- 담당부서 : 농업기술과 소득창출팀(061-390-8436)
구분 | 분야 | 사용량 | 사용주기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농업(작물) | 토양관주 | 물 1Ton당 미생물 1~5L | 1~2주 간격(퇴비살포 후) |
|
입면시비 | 물 1Ton당 미생물 1~5L | 1~2주 간격(정식 2주 후) | ||
액비조제 | 원료 1Ton당 미생물 5~10L | 발효(15~30일) 후 | ||
축산 | 음수투여 | 음수 1Ton당 미생물 0.5~1L | 매일 |
|
발효사료 조제 | 원료 1Ton당 미생물 5~10L | 발효(3~10일) 후 | ||
축사살포 | 물 1Ton당 미생물 2~3L | 1~2주 간격 |
|
- 화학 비료나 농약처럼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
- 장기간 꾸준히 사용하여 토양 속의 유용미생물을 증식 시키는 것이 중요함
- 미생물이 먹고 살 수 있는 먹이가 토양 속에 있어야 함(퇴비살포 기본)
- 건조 및 고온에 약하므로 해가 뜰 무렵이나 질 무렵에 살포
- 비가 오기 전이나 후에 살포하면 가장 좋음
- 농약, 항생제, 소독약 등과 혼용 사용 금지
- 농약 및 비료 안전사용 기중에 준하여 사용
- 개봉한 미생물은 가급적 당일 사용
- 직사광선 및 고온에 매우 취약하므로 냉장보관(4~5℃)(냉장 보관시 개봉하지 않은 것은 1개월까지 보관 가능)
축산(한우) : 0.4L/두(공급한도 30L)
작물(시설채소) : 5L/10a(공급한도 30L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