\
- 4차 메뉴 정의
-
강풍 예보 때는
- 문·창문을 닫고 집 안에서 머무릅시다.
- 유리 파손 때문에 생긴 피해를 줄이도록 젖은 신문지, 테이프 등을 붙입시다.
- 해안지역에서는 바닷가로 가지 맙시다.
- 라디오나 TV의 기상정보를 주의 깊게 들읍시다.
- 날아갈 수 있는 모든 물건들을 안으로 들여놓으세요.
-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, 간판 등은 단단히 고정합시다.
- 비닐하우스는 방풍벽이나 그물을 이용한 파풍망을 설치합시다.
- 비닐하우스는 서까래 사이에 나선형 말목을 박아 고정밴드로 고정합시다.
-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비닐하우스를 밀폐시킨 다음 환풍기 가동합시다.
- 비닐이 찢어진 부분은 빨리 보수하여 바람 피해를 예방합시다.
강풍 몰아칠(주의보/경보) 때는
- 집에 있는 경우에는 현관, 복도 또는 창문의 유리파편으로부터 보호 가능한 곳에 있으세요.
- 지붕 위나 바깥에서 작업을 하지 맙시다.
- 나무 밑으로 피하지 맙시다.
- 바닷가 근처로 가지 맙시다.
- 강풍이 지나간 후 땅바닥에 떨어진 전깃줄에 접근하거나 만지지 맙시다.
- 외출을 삼가고 자동차를 타고 갈 때는 속도를 줄입시다.
-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.
강풍 주의보, 경보 발령기준 - 구분, 육상(보통, 순간풍속), 산간(보통, 순간풍속) 제공 표
구 분 |
육 상 |
산 간 |
보통(풍속) |
순간풍속 |
보통(풍속) |
순간풍속 |
주의보 |
14m/s이상 |
20m/s이상 |
17m/s이상 |
25m/s이상 |
경 보 |
21m/s이상 |
26m/s이상 |
24m/s이상 |
30m/s이상 |
물이 빠진 후에는
- 물이 빠져나가고 있을 때 물에서 멀리 떨어지세요. 기름이나 더러운 물로 오염되었을 경우가 많습니다.
- 흐르는 물에서는 약 15cm 깊이의 물에도 휩쓸려 갈 수 있습니다.
- 홍수가 지나간 지역은 도로가 약해져서 무너질 수 있습니다.
- 재난발생지역에는 가까이 가지 맙시다.
- 홍수로 밀려온 물에 몸이 젖었을 때 비누를 이용하여 깨끗이 씻읍시다.
- 집에 도착 후에는 들어가지 말고, 붕괴가능성을 반드시 점검합시다.
- 가스·전기차단기가 off에 있는지 확인하고, 기술자의 안전조사가 끝난 후 사용합시다.
- 집안에 진입하면 가스가 새어 축적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성냥불이나 라이터불을 사용하지 말고,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합시다.
- 침투된 오염물에 의해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를 먹거나 요리재료로 사용하지 맙시다.
- 수돗물이나 저장식수도 오염 여부를 반드시 조사 후에 사용합시다.
강풍 지나간 후에는
- 피해를 조사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둡시다.
- 가스, 수도, 전기 등 공급 관을 조사하고, 작동 여부를 확인 합시다.
- 시군구, 읍면동 등 관청에서 내리는 지시에 따르시기 바랍니다.
- 자신의 집 피해가 크더라도 절대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처리합시다.

-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.
- 이 정보무늬는 『강풍』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



- 2020. 10. 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