\
- 4차 메뉴 정의
-
수상레저사고 예방
스쿠버다이빙 안전수칙
- 공인된 강사로부터 충분히 잠수교육을 받아야 합니다.
- 지역의 지형, 응급처치법, 구조법 등을 잠수전에 익혀둬야 합니다.
- 잠수는 반드시 2인 1조로 하고 혼자서 잠수하지 맙시다.
- 잠수하는 동안에는 차분하고 규칙적으로 호흡하도록 합시다.
- 잠수 능력의 한도 내에서 합시다.
- 레저 잠수는 수심 30미터 이하로 하지 말고 감압 수칙을 준수합시다.
- 상승속도는 분당 9미터가 넘지 않도록 합시다.
- 잠수 후 상승도중 수심 5미터에서 안전감압을 3~5분간 실시합시다.
- 위쪽에 배나 장애물이 없는지 살피면서 천천히 상승해야 합니다.
- 신뢰할 수 있는 장비를 잘 정비하여 사용합시다.
- 부력조절기를 반드시 사용하고, 수면에 잠수 표시기를 띄워야 합니다.
- 파도가 높고 날씨가 나쁠 때에는 잠수를 하지 맙시다.
- 항로나 항계, 어항의 수역에서는 잠수하지 맙시다.
- 공기통의 공기가 50㎏/㎠ 정도 남으면 상승하기 시작하고,물에서 나온 후에 약간의 공기가 남도록 합시다.
- 수중에 있는 생물들을 함부로 만지지 맙시다.
-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합니다.
- 충분히 교육받지 못한 사람에게는 장비를 빌려주지 맙시다.
- 강사가 아닌 사람은 가르치지 맙시다.
낚시 안전수칙
- 낚싯배에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가 구비되었는지 확인합시다.
- 가족과 주변 사람에게 행선지와 일정을 미리 알려줍시다.
- 야간에는 위치를 알릴 수 있는 랜턴과 체온 보호용 담요를 준비합시다.
- 간·만조 시간을 반드시 확인합시다.
- 기상변화를 알 수 있는 라디오를 준비합시다.
- 휴대폰 예비배터리를 준비합시다.
- 물에 잠긴 흔적이 있는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지 맙시다.

-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.
- 이 정보무늬는 『수상레져』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.



- 2015. 06. 11